건강

신생아는 언제부터 물을 마실 수 있을까?

kkyum2503 2025. 3. 27. 17:14
반응형

신생아는

언제부터 물을 마실 수 있을까?

신생아는 생후 6개월까지 별도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습니다.

이는 모유나 분유가 아기에게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기 때문입니다.

특히 모유는 80% 이상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따로 물을 보충하지 않아도 됩니다.

세계보건기구(WHO)와 미국소아과학회(AAP) 또한 생후 6개월까지는 물을 따로 먹이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.

이유식이 시작되는 6개월 이후부터는 서서히 적은 양의 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그러나 이때도 하루 30~60ml 정도의 소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.


신생아에게 물을 너무 일찍 먹이면 안 되는 이유

수분 중독의 위험

 
  • 신생아의 신장은 아직 미성숙하여 과도한 수분을 배출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.
  • 물을 너무 일찍 많이 먹이면 체내 나트륨 농도가 낮아져 '수분 중독(Water Intoxication)'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이는 경련, 혼수상태 등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영양 섭취 방해

  • 신생아의 위는 매우 작아서 물을 마시면 포만감이 생겨 모유나 분유 섭취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  • 이는 필수 영양소 섭취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면역력 저하

  • 생후 6개월 이전의 아기는 면역력이 낮아 정수되지 않은 물을 마시면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  • 모유나 분유는 살균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물보다 안전합니다.

신생아가 물을 마셔야 하는 상황

 

다만, 특정 상황에서는 의사의 상담 후 소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  •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탈수 증상이 의심될 때 (입술이 마르고 소변량이 급격히 줄어들 경우)
  • 설사나 구토로 인해 수분 손실이 심한 경우 (전해질 보충이 필요할 수 있음)
  •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필요할 때

이러한 경우에도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 후 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생후 6개월 이후의 물 섭취 방법

생후 6개월 이후에는 이유식과 함께 물을 천천히 도입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처음에는 하루 30~60ml 정도의 적은 양으로 시작하세요.
  • 젖병보다는 컵을 이용해 천천히 마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끓인 후 식힌 물을 제공하며, 수돗물보다는 정수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  • 과일주스보다는 깨끗한 물을 마시는 습관을 길러주세요.

마치며

신생아의 건강을 위해 물을 섣불리 제공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

생후 6개월까지는 모유나 분유만으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가능하며,

이후에는 소량의 물을 서서히 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.

혹시라도 아기의 수분 섭취에 대해 걱정이 된다면,

반드시 소아과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아기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올바른 정보로 육아에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. 😊